
바이러스 정보
-
콜레라
질병개요개요콜레라는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라는 세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설사 질환입니다. 대부분은 증상이 경미하지만 20명 중에 1명은 심한 물같은 설사, 구토 및 팔다리 저림 등의 심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수 시간 내에 몸의 수분이 급속히 빠져나가는 탈수현상과 이로 인한 쇼크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상이 심한...
키워드 콜레라, 세균, 설사, 구토, 쇼크, 탈수현상, 전염병, 어패류, 오염, 치료, 예방
-
A형간염
Ⅰ.정의 A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감염 + 급성 간염 질환A형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면서 감염이 됩니다. 대체로 개인위생 관리가 좋지 못한 저개발 국가에서 많이 발병되지만, 위생적인 환경에서 자란 20-30대에서도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감염됐을 경우 수 주에서 2개월 정도 고열, 권태감, 진한 소변, 황달 등...
키워드 A형간염, 예방접종, 고열, 황달, 진한소변, 권태감, 잠복기, 주사기, 음식물, 증상, 치료, 위생
-
장티푸스
질병개요개요살모넬라 타이피(Salmonella Typhi)균 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 열성 질환이다. S. typhi는 사람만이 병원소이며, 인체 외에서 S. typhi가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은 대변에서는 60시간 내외, 물에서는 5∼15일, 얼음에서는 3개월 내외이며, 아이스크림에서는 2년, 고여 있는 물에서는 6개월, 우유에서는 2∼3일, 육류에서는 8주, 과일에서는 6일 등으로 알려져 있으...
키워드 장티푸스, 감염, 음식, 오한, 두통, 변비, 설사, 예방접종, 배설물
-
일본뇌염
개요일본뇌염은 Flavivirus속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에 물리면 감염되며, 모기는 야생 조류나 일부 포유류로부터 감염됨. 주로 돼지가 바이러스의 증폭 숙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아시아 지역 소아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뇌염으로 매년 3~5만 명이 감염되어 약 30%의 사망률을 보...
키워드 일본뇌염, 빨간집모기, 호흡장애, 순환장애, 세균감염, 고열
-
B형간염
B형간염 개요 B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감염은 전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간경변이나 간세포암과 같은 만성 간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보건 문제임. 우리나라는 간세포암의 약 70%가 B형간염과 연관이 있으며, B형간염으로 인한 간세포암 발생률이 매우 높은 국가임 ...
키워드 B형감염, 혈액, 수혈, 황달, 환자, 치료, 급성, 만성
-
말라리아
개요말라리아는 Plasmodium 속 원충이 적혈구와 간 세포내에 기생함으로써 발병되는 급성 열성 감염증으로 인체의 적혈구내에 기생하면서 적혈구가 파괴되어 주기적인 열발작, 빈혈, 비종대 등의 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세계인구의 약 40%에 달하는 24억 인구가 말라리아 유행지역에 살고 있으며, 매년 약 3~5억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하며 그 중 100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키워드 적혈구, 열, 빈혈, 비종대, 6대열대병, 얼룩날개모기, 잠복기, 증상, 치료
-
뎅기열
개요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되어 생기는 병으로 고열을 동반하는 급성 열성 질환이다. 뎅기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전파된다. 이 모기는 아시아, 남태평양 지역,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지방과 아열대지방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병이지만, 최근에는 유행지역에 다녀온 후 발병하는 경우가 매년 30여 명씩 보고되고 있...
키워드 모기, 고열, 열대지방, 발열, 두통, 근육통, 열성질환, 잠복기